만약 집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 IP 가 아니면 이 방법은 쓰기 어려울듯함.
하지만 집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공유기를 사용할 경우, 해당 공유기가 DDNS 와 WOL 을 지원한다면 굳이 이 방법을 쓰진 않아도 될듯.
그래도 알아두면 도움은 될듯하니 포스팅.
(사용법)
- 컴퓨터 종료 상태이면 매직패킷으로 컴퓨터를 깨우고 원격 접속한다.
- 대기모드 상태이면 매직패킷으로 대기모드를 깨우고 원격 접속한다.
* 매직패킷이 인터넷망을 통과하지 못한다? 공유기에서 매직패킷을 발생한 경우만 된다?
(목차)
1. CMOS Wake On 설정 - BIOS SETUP
2. 네트워크 카드 설정 - 제어판 > 장치관리자 > 랜카드
3. WAN Wake On 설정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방화벽, 공유기(포트포워딩)
4. 컴퓨터 IP 고정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연결
5. Windows Update 설정변경 - 제어판 > Windows 업데이트
6. Wake On Lan Wan 어플 설정
(본문)
1. CMOS Wake On 설정
1) LAN Boot ROM은 LAN을 통해 부팅가능하도록 활성화 (마더보드 장치 설정)
2) 컴퓨터가 꺼져 있더라도 랜카드에 전원 공급이 유지 (Power와 관련된 설정 메뉴)
2. 네트워크 카드 설정
1) 랜카드 설정 - 제어판 > 장치관리자 > 랜카드 > 고급
랜카드
설정
Atheros L1 Gigabit Ethernet
절전모드 해제 기능 => 매직패킷
종료시 절전모드 해제 => 사용 중
Realtek PCIe GBE
웨이크 온 랜 종료 => 사용
WOL 기능 => 패턴 매치와 매직 패킷
Attansic L1 Gigabit Ethernet
Shutdown Wake Up => Enable
Wake Up Capabilities => Magic Packet & Pattern Match
Realtek RTL8168/8111 Gigabit Ethernet
Wake-On-Lan after shutdown => Enable
2) 대기모드 설정 - 제어판 > 장치관리자 > 랜카드 > 고급
※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 원격에서 대기모드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매직 패킷을 사용 할 수 밖에 없다.
※ 이 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음
- 컴퓨터가 네트워크 상태를 고치도록 주기적으로 깨어 난다.
※ 매직 패킷에서만 컴퓨터의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음
- 매직 패킷으로 대기모드가 종료된다.
3) 절전모드 해제 시 암호입력 해제 - 제어판 > 전원옵션
3. WAN Wake On 설정
1) 방화벽에서 Magic Packet 전달 포트 열어주기 -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규칙
- [제어판] 에서 [방화벽]으로 들어갑니다.
- [방화벽]에서 [고급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 고급 설정에서 [인바운드 규칙]을 클릭하고 오른쪽의 [새 규칙]을 클릭합니다.
- [규칙 마법사]에서 규칙 종류로 [포트]를 선택합니다.
- 규칙 종류로 TCP를 선택하고, [특정 로컬 포트]를 선택한 후 포트포워딩으로 설정한 포트 숫자를 적어 줍니다. (9번)
- [연결 허용]을 선택합니다.
- 3개 모두 선택합니다.
- 이름과 설명을 적어 나중에 규칙을 제거하거나 수정할 때 구분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아웃바운드 규칙 설정
인바운드 규칙 마법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웃바운드 규칙]을 해당 포트로 설정해 줍니다. (내용 동일)
2) 공유기 포드포워딩 설정
4. 컴퓨터 IP 고정
5. Windows Update 설정변경
원격에서 재시작 하는 경우 Windows 업데이트 자동 설치 수행 시간 동안 원격 접속 불가한 문제 방지
6. Wake On Lan Wan 어플 설정 (안드로이드)
- 매직패킷 포트 : 위에서 자신이 설정한 port
- Disable Broadcasting